본 시스템은 원도우즈 IE8이상,애플 Safari,Firefox,구글 Chrome 및 각종 최신 스마트기기를 지원합니다.

종친 여러분 인터넷족보 시스템을 방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관직명
* 검색어는 두글자 이상 입력해 주세요.
* 목록에서 관직의 제목을 클릭하면 설명이 나옵니다.
* 검색어 예시: 가덕대부, 가선대부...

총 1443개의 관직자료가 존재합니다.

감사(監史)
고려 때 소부시와 군기시에 두었던 서리(胥吏 : 아전)의 직명.
감사(監事)
조선의 춘추관(春秋館)에 두었던 정1품의 관직. 좌 우의정이 겸임.
감서(監書)
조선 말기 규장각(奎章閣)에 소속된 잡직으로 시문의 사교(寫校)와 관리를 맡았다.
감수국사(監修國史)
고려 춘추관(春秋館)의 최고 관직으로 시중(侍中 : 종1품)이 겸직.
감신(監臣)
신라의 6부 소감전(六部少監典) 중에서 모량부(牟梁部), 한기부(漢祇部), 습비부(習比部)에 두었던 으뜸 관직.
감역관(監役官)
조선 중기 이후, 선공감(繕工監)에 둔 종9품 관직. 조선 초기에 궁궐 관청 등의 건축 공사에 임시로 차출되어 감독 책임을 맡은 관원.
감진어사(監賑御使)
조선 때 지방에 흉년이 들었을 때 백성을 보살피고 구제하는 일을 감독하던 암행어사로 대개는 정3품 당하관인 시종 중에서 선발 임명하였다. 이 때 파견되는 어사가 당상관(堂上官)일 때는 끝자에 사(使)자를, 당하관일 때는 사(史)자를 붙였다.
감찰(監察)
조선 때 사헌부(司憲府)에 두었던 정6품 관직으로 나라의 여러 일을 관찰하여 기강을 세우고 풍속을 바로 잡는 일을 맡았다.
감찰(監察)
용어[用語] 종6품사헌부의 최말단직이나 독립된 감찰청(監察廳)에 속하여, 외국으로의 사행(使行), 조정에서의 예회(禮會), 국고의 출납, 과거현장(科擧現場), 제사절차 등 모든 것에 다 임검(臨檢)하여 위례범칙(違例犯則)을 계찰할 수 있는 권한이 대단하여 감찰이라면 누구든 벌벌 떨었다 하며, 비록 왕자 대군이나 귀족 명사들도 이들이 연몌(聯袂) 출동(出動)할 때에는 하마(下馬), 회피할 정도였다고 한다. 그러므로 이들의 임용에는 매우 신중하여 한번 선임되면 반드시 추의누색(?衣陋色:土色團領을 입음)과 단모폐대(短帽弊帶) 박마파안(樸馬破鞍)으로 하도록 되어 있다. 정원은 24명.
감찰대부(監察大夫)
고려 때 감찰사(監察司)의 정3품 벼슬.
감찰사(監察史)
고려 감찰사(監察司)의 종6품 벼슬. 감찰사헌 감찰어사 감찰내사 감찰규정 사헌규정으로 고쳐짐.
감찰사헌(監察司憲)
1015년(고려 현종 6)에 금오대(金吾臺)를 사헌대로 고치면서 두었던 종6품 벼슬.
감찰시사(監察侍史)
고려 때 감찰사(監察司)의 종5품 벼슬.
감창사(監倉使)
고려 때 동북면과 서북면에 둔 창고를 감찰하던 외직 관리.
감춘추관사(監春秋館事)
고려 때는 종1품, 조선 때는 정1품으로 춘추관에 두었던 관직.
감후(監候)
고려 때 서운관(書雲觀)에서 기후에 관한 사무를 맡아보던 정9품직.
강화부(江華府)
특수 지방 관청으로서 다음 관직을 두고 있다.유수(留守), 경력(經歷), 분교관(分官), 검률(檢律).
개성부(開城府)
[고려시대 관직]고려의 수도 서울을 맡은 관청으로 그 장은 판사(判事)이다.
개성부(開城府)
지방관서인 개성부는 특별시 제도와 같은 특수 지방관청으로서 유후사(留後司)라고도 하는데 다음과 같은 관직을 두고 있다.유수(留守), 경력(經歷), 도사(都事), 교수(授), 분교관(分官), 검률(檢律),
건공장군(建功將軍)
조선 때 종3품 무관의 품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