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어는 두글자 이상 입력해 주세요.
* 목록에서 관직의 제목을 클릭하면 설명이 나옵니다.
* 검색어 예시: 가덕대부, 가선대부...
* 목록에서 관직의 제목을 클릭하면 설명이 나옵니다.
* 검색어 예시: 가덕대부, 가선대부...
총 1443개의 관직자료가 존재합니다.
세손강서원(世孫講書院)
태조 건국초에 창설하여 세손(世孫 : 임금의 손자)의 글을 가르치는 관청으로서 그 관직은 다음과 같다. 사부(師傅), 좌유선(左諭善), 우유선(右諭善), 좌익선(左翊善), 우익선(右翊善), 좌권독(左勸讀), 우권독(右勸讀), 좌찬독(左?讀), 우찬독(右?讀).
세손위종사(世孫衛從司)
세손을 호위하는 곳으로서 다음과 같은 관직이 있다. 좌장사(左長史), 우장사(右長史), 좌종사(左從史), 우종사(右從史).
세자보(世子保)
고려 때, 세자의 스승. 세자부(世子傅)의 다음인데 1277년(고려 충렬왕 3)에 두었음. 그 전의 태자 태보(太子太保)와 같음.
세자부(世子傅)
고려 때 세자의 스승, 조선 때 세자시강원에 속한 정1품 관직.
세자사(世子師)
고려 때 세자의 스승, 조선 때 세자시강원에 속한 정1품 관직.
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
태조 원년에 창설하였는데 여기는 동궁(東宮) 즉 세자에 대한 시강(侍講 : 공부시킴)을 맡아 주관하는 관청이다. 첨사부(詹事府), 징원당(澄源堂), 춘방(春坊), 뇌사(雷肆), 갑관(甲觀)으로 불리고 있는데 그 관직은 다음과 같다. 사(師 : 영의정이 겸임함), 부(傅 : 좌 · 우의정이 겸임함), 이사(貳師 : 찬성이 겸임함), 좌빈객(左賓客), 우빈객(右賓客), 좌부빈객(左副賓客), 우부빈객(右副賓客), 찬선(?善), 보덕(輔德), 겸보덕(兼輔德), 진선(進善), 필선(弼善), 겸필선(兼弼善), 문학(文學), 겸문학(兼文學), 사서(司書), 겸사서(兼司書), 설서(說書), 겸설서(兼說書), 자의(諮議).
세자익위사(世子翊衛司)
세자를 모시고 호위하는 관청인데 솔갱시(率更寺), 계방(桂坊)으로 부르고 있으며 이 관청에는 다음과 같은 관원이 있다. 좌익위(左翊衛), 우익위(右翊衛), 좌사어(左司禦), 우사어(右司禦), 좌익찬(左翊?), 우익찬(右翊?), 좌위수(左衛率), 우위수(右衛率), 좌부수(左副率), 우부수(右副率), 좌시직(左侍直), 우시직(右侍直), 좌세마(左洗馬), 우세마(右洗馬).
소감(少監)
신라 때 무관직, 고려 때 4∼5품 관직, 조선 때 종4품 벼슬.
소격서(昭格署)
하늘과 땅, 별 등에 제사하는 기관으로서 그 관원으로서는 영(令), 별제(別提), 참봉(參奉).
소경(少卿)
고려 때 종4품 벼슬, 조선 때 종4품 벼슬.
소덕대부(昭德大夫)
조선 때 종1품 종친의 품계.
소덕부사(昭德大夫)
조선 때 종친(宗親)과 문관(文官)에게 준 종1품 관계.
소부감(少府監)
[고려시대 관직]나라의 모든 물건을 보관하는 창고를 관리하는 관청인 바 그 장은 판사(判事)라고 했다.
소사읍(小舍邑)
신라 때 전읍서(典邑署)의 관직으로 위계(位階)는 대사(大舍 : 12관등)에서 사지(舍知 : 13관등)까지임.
소사자(小使者)
고구려 말기 8품쯤 되는 벼슬.
소오(小烏)
신라 때 17관등 중 16관등의 위계(位階).
소위장군(昭威將軍)
조선 때 무관 정4품 품계.
소유(所由)
고려 때 사헌부(司憲府)에 예속된 이속(吏屬).
소윤(少尹)
신라의 지방관직, 고려 때 종4품 벼슬, 조선 때 상서사(尙瑞司) 종부시(宗簿寺) 한성부(漢城府) 개성부(開城府) 소속의 정4품 관직.
소의(昭儀)
조선 때 정2품 내명부(內命婦 : 궁중여자들의 품위)의 품계(品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