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시스템은 원도우즈 IE8이상,애플 Safari,Firefox,구글 Chrome 및 각종 최신 스마트기기를 지원합니다.

종친 여러분 인터넷족보 시스템을 방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관직명
* 검색어는 두글자 이상 입력해 주세요.
* 목록에서 관직의 제목을 클릭하면 설명이 나옵니다.
* 검색어 예시: 가덕대부, 가선대부...

총 1443개의 관직자료가 존재합니다.

종6품(從六品)=현감(縣監))
외관(外官)---[경기도] 지평(砥平), 포천(抱川), 적성(積城), 과천(果川), 금천(衿川), 연천(漣川), 음죽(陰竹), 양성(陽城), 양지(陽智).[충청도] 홍산(鴻山), 제천(堤川), 덕산(德山), 평택(平澤), 직산(稷山), 회인(懷仁), 정산(定山), 청양(靑陽), 연풍(延豊), 음성(陰城), 청안(淸安), 은진(恩津), 진잠(鎭岑), 회덕(懷德), 연산(連山), 이성(尼城 : 作山이라고도 하였음), 부여(扶餘), 석성(石城), 비인(庇仁)남포(藍浦), 진천(鎭川), 결성(結城), 보령(保寧), 해미(海渼), 당진(唐津), 신창(新昌), 예산(禮山), 목천(木川), 전의(全義), 연기(燕岐), 보은(報恩), 영천(永川), 영동(永同), 황간(黃澗), 청산(靑山), 아산(牙山).[경상도] 개령(開寧), 삼가(三嘉), 의령(宜寧), 하양(河陽), 용궁(龍宮), 봉화(奉化), 청하(淸河), 언양(彦陽), 칠원(漆原), 진해(鎭海), 진보(眞寶), 문경(聞慶), 함창(咸昌), 지례(知禮), 안의(安義 : 安陰이라고도 하였음), 고령(高靈), 현풍(玄風), 산청(山淸 : 山陰이라고 하였음), 단성(丹城), 군위(軍威), 비안(比安), 의흥(義興), 신녕(新寧), 예안(禮安), 연일(延日), 장기(長?), 영산(靈山), 창녕(昌寧), 사천(泗川), 기장(機張), 웅천(熊川), 자인(慈仁), 영양(英陽).[전라도] 광양(光陽), 용안(龍安), 함열(咸悅), 부안(扶安), 함평(咸平), 강진(康津), 옥과(玉果), 고산(高山), 태인(泰仁), 옥구(沃溝), 남평(南平), 흥덕(興德), 정읍(井邑), 고창(高敞), 무장(茂長), 무안(務安), 구례(求禮), 곡성(谷城), 운봉(雲峰), 임실(任實), 장수(長水), 진안(鎭安), 동복(同福), 화순(和順), 흥양(興陽), 해남(海南), 대정(大靜), 정의(旌義), 진원(珍原), 삼계(森溪).[황해도] 장연(長淵), 송화(松禾), 강령(康翎), 은율(殷栗), 토산(兎山), 강음(江陰).[강원도] 평강(平康), 금화(金化), 낭천(狼  川), 홍천(洪川), 양구(楊口), 인제(麟蹄), 횡성(橫城), 안협(安峽).[함경도] 홍원(洪源), 이성(利城).[평안도] 양덕(陽德), 맹산(孟山), 태천(泰川), 강동(江東), 은산(殷山).
종7품(從七品)
직장(直長), 좌종사(左從史), 우종사(右從史), 사(士 : 호조의 벼슬), 명률(明律), 부전률(副典律), 선회(善繪), 부사정(副司正), 별회(別會).
종8품(從八品)
계사(計士), 심율(審律), 봉사(奉事), 부전음(副典音), 별검(別檢), 전곡(典?), 화리(턛吏), 부사맹(副司猛).
종9품(從九品)
회사(會士), 부정자(副正字), 분교관(分官), 학유(學諭), 겸인의(兼引儀), 가인의(假引儀), 참봉(參奉), 감역관(監役官), 가감역관(假監役官), 부전성(副典聲), 전화(典貨), 회리(繪吏), 권관(權管), 훈도(訓導), 심약(審藥), 검률(檢律), 부사용(副司勇), 초관(哨官).
종묘서(宗廟署)
태조 원년에 창설되었는데, 종묘를 수위하는 관청으로서 태묘(太廟), 침원(寢園)이라고도 한다. 이곳의 관원은 영(令), 직장(直長), 봉사(奉事), 부봉사(副奉事).
종백(宗伯)
조선 때 예조 판서(禮曹判書)의 딴 이름.
종부시(宗簿寺)
태조 원년에 창설되어 녹찬(祿撰)과 종실에 대한 사무, 왕실의 족보 등을 조사 연구하는 기관인데 전중성(殿中省), 종정시(宗正寺)라고도 하며 그 관직은 정(正), 첨정(僉正), 주부(主簿), 직장(直長).
종사(從事)
조선 때 무반 잡직의 종8품 벼슬.
종사(從史)
조선 때 세손위종사(世孫衛從司)에 속해 있던 종7품관.
종사관(從事官)
조선 때 통신사를 수행한 임시 벼슬. 또는 각 군영(軍營) 포도청(捕盜廳)에 소속된 종6품직.
종사랑(從仕郞)
고려 때 정9품의 문관품계(文官品階).
종사랑(從事郞)
고려 때 7품 무관의 품계.
종사지(從舍知)
신라 때 예궁전(穢宮典) 세택(洗宅) 숭문대(崇文臺)에 두었던 벼슬.
종순랑(從順郞)
조선 때 정6품의 문반품계이며, 종친의 위계(位階).
종정경(宗正卿)
조선 말의 종친부(宗親府) 소속으로 종2품 벼슬.
종친부(宗親府)
건국 초에 창설한 조선조 종실(宗室)과 모든 군(君)에 관한 사무를 관장한 관청. 따로 있는 종부시(宗簿寺)에서는 종실의 보첩, 규찰 등을 맡고 있다. 이 종친부에는 다음과 같은 관직이 있다. 대군(大君), 군(君), 도정(都正 : 종친된 자가 함), 정(正), 부정(副正 : 종친이 함), 수(守), 전첨(典籤), 부수(副守), 영(令), 전부(典簿), 부령(副令), 감(監).
종학사(宗學司)
왕족의 교육을 맡아 주관하는 관청으로서 1428년(세종 10)에 창설되었고 연산군 때 폐지되었다가 중종 때 다시 계속되었는데 여기의 소속 관원은 도선(導善), 전훈(典訓), 사회(司誨).
좌(佐)
신라 때 사정부(司正府) 좌 우리방부(左右理方府)의 한 벼슬. 위계(位階)는 대나마(大奈麻 : 10관등)에서 나마(奈麻)까지.
좌간의대부(左諫議大夫)
고려 때 정4품의 관직위계(官職位階). 조선 때 정3품.
좌대언(左代言)
고려 때 밀직사(密直司), 조선 때 승정원(承政院)에 소속(所屬)된 정3품 벼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