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어는 두글자 이상 입력해 주세요.
* 목록에서 관직의 제목을 클릭하면 설명이 나옵니다.
* 검색어 예시: 가덕대부, 가선대부...
* 목록에서 관직의 제목을 클릭하면 설명이 나옵니다.
* 검색어 예시: 가덕대부, 가선대부...
총 1443개의 관직자료가 존재합니다.
평장정사(平章政事)
고려 때 중서문하성(中書門下省) 소속의 정2품 벼슬.
포도대장(捕盜大將)
조선 때 포도청(捕盜廳)에서의 으뜸가는 종2품 무관직.
포도청(捕盜廳)
도적을 잡고 수사하는 현재의 경찰서와 같은 기관이다. 좌 · 우 양청이 있으며 장은 대장(大將 : 종2품), 그 밑에 종사관(從事官 : 종6품), 부장(部長 : 捕校), 포도군사(捕盜軍士 : 捕卒).
포삼별장(包蔘別將)
조선 말기 의주 관세사(義州管稅司)에 두었던 하위 관원.
표기대장군(驃騎大將軍)
고려 때 종1품의 무산계(武散階).
풍저창(?儲倉)
쌀, 콩 등 곡식과 초둔(草芚 : 거적자리), 종이 등을 맡은 곳으로서 관원은 정4품 수(守) 이하 5명.
필도지(必쪅赤)
[고려시대 관직]몽고에서 온 말인데 서기일을 맡아보는 관원.
필선(弼善)
조선 때 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 소속의 정4품 벼슬.
하관정(夏官正)
고려 때 사천대(司天臺)에 두었던 종5품 벼슬.
하대부(下大夫)
당하관(堂下官)인 대부. 곧 정3품 통훈대부부터 조봉대부까지 칭함.
학록(學錄)
고려 때 국자감(國子監) 국학(國學) 성균관(成均館)의 정9품 관직. 조선 때 성균관(成均館)의 정9품 관직.
학사(學士)
고려 때 한림원 문한서 홍문관 ·수문전 집현전 숭문관의 정4품, 사림원의 정3품 벼슬. 조선 초 중추원(中樞院)에 소속된 종2품 벼슬.
학사승지(學士承旨)
고려 때 한림원 문한서의 정3품, 사림원의 종2품 벼슬.
학유(學諭)
고려 때 국자감 성균관의 종9품 관직. 조선 때 성균관의 종9품 관직.
학정(學正)
고려 때 국자감 성균관의 정9품 관직. 조선 때 성균관의 정8품 관직.
한림(翰林)
용어[用語] 정9품예문관의 봉교(奉 : 정7품) 이하를 한림이라고 하는데, 좁게는 최말직인 검열의 통칭이니 한림의 직품이 비록 최하직이나 그 직이 청환(淸宦)인데다가 실제직무가 겸춘추관기사관(兼春秋館記事官)으로서 사관(史官) 노릇을 하기때문에 직위에 맞지 않게 중요시되어 이의 선임은 가장 신중을 기하고 따라서 그 영예로움도 대단하였다. 즉 문과급제의 방이 나면 말석의 예문관원이 주장하여 한림의 후보자 될 만한 사람을 가려내어 동료와 더불어 밀실에서 천차(薦次)를 평정하고, 이어 증경한림과 예문 홍문 양관 당상에게 회시하여 다 이의가 없는 뒤에야 설단(設壇) 분향(焚香)하고 천지에 서고(誓告)하기를 「秉筆之任 國家最重 薦非其人 必有其殃」이라 하고, 다음 3정승과 찬성 참찬 양관제학 이조당상이 모여 앉아 피천인(被薦人)으로 하여금 강목(綱目), 좌전(左傳), 송감(宋鑑) 등을 시강(試講)케 하여 석차를 정하였다. 이것은 한림이 사관으로서 만고시비(萬古是非)의 권한을 잡는 사람이기에 공정하고 유능한 인물을 추천해야 한다는 조심성에서 나온 것이다 1741년(영조 17)에 구천법(舊薦法)이 당론과 관섭하는 폐가 있다 하여 이를 폐하고, 새로 한림을 지낸이 3인이 모여 문과방목 중에서 한림후보자를 뽑아내어 권점(圈点)을 쳐서 2인 이상의 투점(投点)을 얻은 자로 취하니 이른바 「한림합권(翰林合圈)」이요, 한림이 비원(備員)되지 못한 때에는 정부에서 이를 행하니 이것이 소위 「도당회권(都堂會圈)」이다. 이리하여 적임자로 약간명을 선정하고, 다시 그 중에서 몇 사람만을 득점순(得点順) 대로 보임(補任)하였는데, 비록 보직(補職)을 못받더라도 권내(圈內)에 참입(參入)된 것만으로도 일종의 자격을 인정받은 것으로 긍지가 컸으니, 한림은 이와 같이 영광스럽던 것이다.
한림원(翰林院)
[고려시대 관직]왕의 조서(詔書)를 맡아서 짓는다. 그 장은 학사(學士)라고 하였다.
한림학사(翰林學士)
고려 때 한림원(翰林院) 소속의 정4품 관직(官職).
한성부(漢城府)
경조(京兆)라고도 한다. 1394년(태조 3)에 창설하였는데 지금 서울특별시와 같은 관청으로서 서울 장안의 모든 행정을 맡아보는 관청이다. 한성부의 관직은 판윤(判尹), 좌윤(左尹), 우윤(右尹), 서윤(庶尹), 판관(判官), 주부(主簿), 참군(參軍).
한학교수(漢學授)
조선 때 사역원의 종6품 벼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