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어는 두글자 이상 입력해 주세요.
* 목록에서 관직의 제목을 클릭하면 설명이 나옵니다.
* 검색어 예시: 가덕대부, 가선대부...
* 목록에서 관직의 제목을 클릭하면 설명이 나옵니다.
* 검색어 예시: 가덕대부, 가선대부...
총 1443개의 관직자료가 존재합니다.
내금위장(內禁衛將)
조선 때 임금의 호위와 대궐의 숙직을 맡아보던 금군청(禁軍廳)의 내금위를 통솔하는 종2품직.
내급사(內給事)
고려 때 전중성(殿中省)에 소속된 종6품의 관직.
내급사(內給事:종6품)
[고려시대 관직]비서교랑(秘書校郞), 비서랑(秘書郞), 낭장(郞將).
내명부(內命婦)
용어[用語]내명부라 함은 궁안에 있는 여인의 벼슬을 말함인데, 여기에 상궁(尙宮) 이하는 궁직(宮職) 즉 궁녀의 직함이 고, 빈(嬪)으로부터 숙원(淑媛)까지는 왕의 후궁(後宮)인데, 정(正) 종(從) 각 9품(品)으로 되어 있으니 그 계단이 18계단이 있는 셈이다.
내사사인(內史舍人)
고려 때 내사문하성(內史門下省) 소속의 종4품 벼슬.
내사시랑평장사(內史侍郞平章事)
고려 때 내사문하성 소속의 정2품 벼슬.
내섬시(內贍寺)
각 전(殿)과 각 궁(宮)에 음식물, 제물과 기름, 초, 소찬(素饌)을 맡아 보고 또한 2품 이상의 관원에게 음식 주는 일과, 일본 · 여진(女眞 : 만주) 등에 음식, 옷감, 술을 주는 일을 관장하며 덕천고(德泉庫)라고도 부른다. 여기의 관직은 정(正), 부정(副正), 첨정(僉正), 판관(判官), 주부(主簿), 직장(直長), 봉사(奉事).
내수사(內需司)
대궐에서 쓰는 물자를 공급하는 관청으로서 전수사(典需司)라고도 한다. 그 소속 관원은 전수(典需), 부전수(副典需), 별좌(別坐), 별제(別提), 전회(典會), 전곡(典?), 전화(典貨).
내시(內侍)
고려 때 숙위(宿衛) 및 근시(近侍)의 일을 맡던 관원으로 재주와 용모가 뛰어난 세족자제(世族子弟)들을 임명하였다. 조선 때 환관의 별칭.
내시백(內侍伯)
고려 때 액정국(掖庭局)에 두었던 정7품직.
내시부(內侍府)
대전(大殿) 안의 수라상 감독, 상감의 분부 전달, 수문(守門), 청소 등을 맡은 곳으로서 관원은 상선(尙膳 : 종2품) 이하 종9품까지 50여 명.
내알자(內謁者)
고려 때 액정국(掖庭局)에 두었던 종8품직.
내알자감(內謁者監)
고려 때 액정국(掖庭局)에 두었던 정6품직.
내의원(內醫院)
태조 원년에 창설하였는데 대궐의 약과 화제(和劑)를 다루는 기관으로서 상약(尙藥), 장의(掌醫), 봉의(奉醫), 상의(尙醫), 상국(尙局), 약방(藥房)이라고도 부르며 그 관원으로는 정(正), 첨정(僉正), 판관(判官), 주부(主簿), 직장(直長), 봉사(奉事), 부봉사(副奉事), 참봉(參奉).
내자시(內資寺)
태조 원년에 창설한 궁내의 술, 간장, 기름, 꿀, 채소, 잔치 등을 맡는 관청으로서 대관(大官), 선관(膳官)이라고 한다. 소속 관직은 정(正), 부정(副正), 첨정(僉正), 판관(判官), 주부(主簿), 직장(直長), 봉사(奉事).
내전숭반(內殿崇班)
고려 때 액정국(掖庭局)의 남반(南班)에 속한 종7품직.
내지제고(內知制誥)
고려 때 한림원과 보문각의 관원이 겸직한 지제고.
내지제교(內知製)
내지제고를 고친 이름. 조선 때 홍문관의 부제학 이하 부수찬에 이르는 직원이나 규장각의 직제학 이하의 직원이 겸임한 지제교.
내직랑(內直郞)
고려 때 동궁(東宮 : 세자의 거처)에 소속된 종6품 벼슬.
노당(弩幢)
신라 때 병부(兵部)의 벼슬로 위계는 대사(大舍)에서 조위(造位)까지임.